본문 바로가기

★디지털 마케팅 TIP/매체별 전환 기준은?

광고 매체별 전환 기준 알아보기!

매체 별 전환 기준에 대해서 알고 계신가요?



네이버 보고서 전환 : 1,000 Facebook 보고서 전환 : 1,000Google 보고서 전환  : 1,000


내부 전환 수 : 2,800 200건의 전환은 도대체 어디간거지?


네이버, Facebook, Google 등 다양한 매체로 광고를 진행하고 있을 때 종종 이런 경우가 생긴다.

200건의 전환은 어디로 사라진 것이 아닌, 매체 별 전환 기준에 의해서 중복집계가 되었다고 보면 된다.


그래서 광고를 진행할 때는 매체 별 전환기준을 꼭 확인해야 한다.


[Facebook 전환 추적 기준]



[Google의 전환 추적 기간]


FacebookGoogle의 전환 추적 기간을 보면 일반적으로 위와 같은 기준을 가진다.


Facebook은 보고서->열 맞춤 설정 탭 우측 하단에서 확인할 수 있고

Google은 발급받은 전환태그를 클릭하면 확인이 가능하다.


두 매체 모두 일반적인 전환 추적기간에 클릭 후 전환과 조회 후 전환 두 가지를 반영하고 있다.

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전환은 광고 클릭 후 전환 Action을 바로 일으키는 상황이다.


하지만 실제로 우리가 보고서에서 확인하고 있는 전환 기준은 조금 다르다.

보통 클릭 후 전환/조회 후 전환 두 가지 기준으로 전환은 업데이트가 된다.

 

a.     클릭 후 전환

클릭 후 전환 기준은 실제 매체 광고 클릭 후 지정한 기간(위의 예에서는 Facebook28일 구글은 30일로 설정 되어 있음)에 따라 전환 보고서가 업데이트가 된다.

클릭 후 28일 기간을 설정해 놓은 경우, 광고 클릭 이후 28일 이내에 유저가 전환을 일으키게 되면 그 전환도 매체 보고서에 업데이트가 된다.

Case 1.

Facebook 광고 클릭 -> 사이트 이탈 -> 2일 뒤 Naver 검색을 통해 사이트 유입 후 전환

위와 같은 상황에서도 Facebook은 광고를 통한 전환이 업데이트가 되는 것이다.

Case 2.

Facebook 광고 클릭 -> 사이트 이탈 -> 2일 뒤 Google 검색을 통해 사이트 유입 후 전환

위와 같은 상황에서는 어떨까?

위와 같은 상황에서는 FacebookGoogle 매체 모두 전환이 업데이트가 된다.

FacebookGoogle 에서 중복 전환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.

따라서, 클릭 후 전환 추적 기간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서 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전환 수 자체도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.


b.    조회 후 전환

조회 후 전환 기준도 클릭 후 전환 기준과 유사한 로직으로 집계 된다.

다만, 광고를 클릭했느냐 조회했느냐에 따라 그 기준만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.


Case 1.

Facebook 광고 조회 -> 1일 뒤 블로그를 통해 사이트 유입 후 전환

위와 같은 상황에서도 Facebook은 광고를 통한 전환이 업데이트가 되는 것이다.


Case 2.

Facebook 광고 조회 -> 사이트 이탈 -> Google 조회 -> 블로그를 통해 사이트 유입 후 전환

클릭 후 전환과 유사하게 위와 같은 상황에서는 FacebookGoogle 매체 모두 전환이 업데이트가 된다.

 

매체 별로 클릭 후 전환/조회 후 전환 기준에 따라 보고서에서의 확인할 수 있는 전환 숫자가 달라지게 된다. 따라서, 어떤 기준으로 전환을 Tracking을 하느냐가 중요하다.

다양한 매체를 사용하고 있다면, 매체 별 전환 기준 확인 후 전환 기준을 통일시켜 주는 것을 추천한다. 만약 매체 별 동일한 기준을 지정할 수 없다면 그럴 경우에는 Google Analytics와 같은 3rd parkty Tracking Tool을 활용하여, 동일한 기준으로 매체 별 실적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.